레전드 장포수전 - 한국 포경의 시작까지 쓰고 보니 더 이상 찾아주지 않는 폐가가 되었다는 실감이 마침내 들었습니다. 팬데믹과 선거와 인플레이션과 젠더 갈등과 세대 갈등과 이 모든 뜬 세상의 일들이 탕탕 지나가는데 한가하게 추운 먼 바다의 고래 얘기란 참으로 먼 나라의 이야기 같습니다.
어떻게 이 시리즈를 마무리할까 고민을 조금 했습니다. 제가 오래 방치해뒀던 이글루 블로그로 다시 돌아온 이유가 아무튼 고래 이야기는 마무리를 하자는 것이어서, 그저 짧고 허무하게 마무리를 짓고 오래 저 자신에게 큰 의미가 되었던 이글루스 블로그를 당분간 접어두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동안 정말 정말 읽고 같이 얘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인년 새해를 맞아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 모두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SF 오타쿠의 세계에는 크게 양대 산맥이 있습니다. DC와 마블이 아니라 스타워즈와 스타트렉입니다. 흥미로운게 스타워즈는 요즘 표현으로 지구와 무관한 세계관입니다만, 스타트렉은 지구를 출발점으로 하는 세계관입니다. 스타트렉은 대단히 오랜 기간 동안 TV 드라마와 영화로 연속, 재탄생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 1986년에 개봉한 극장판 영화 시리즈 4번째의 "스타 트렉 4: 귀환의 항로" Star Trek IV: The Voyage Home이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때는 2286년, 거대한 실린더 모양의 괴물체가 해독할 수 없는 시그널을 발사하며 지나가는 모든 우주선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 괴물체는 지구 궤도로 진입한 후 지구 전체 글로벌 에너지망을 정지시키고 행성 규모의 폭풍을 발생시켜 지구를 파괴 직전으로 몰고 갑니다. 절체절명의 지구!
USS 엔터프라이즈호의 승조원들은 이때 벌칸 행성에서 지구로 귀환하는 도중이었습니다. 귀환하려는 와중에 이 괴물체로 인한 지구의 위기를 알게되고 이 괴물체가 발사하는 이해할 수 없는 시그널이 바로 지금 지구에는 멸종된 혹등고래의 시그널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지구를 구하기 위해 타임워프를 하여 혹등고래가 멸종되기 전 1986년으로 날아가서 고래를 데리고 와서 이 괴물체와 교신을 하기로 합니다. 1986년의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이들은 소살리토 수족관에 있는 혹등고래 한쌍을 발견하고 이들을 돌보는 닥터 질리언 테일러와 함께 우여 곡절 포경선에서 고래를 구해내는 모험을 거친 끝에 고래를 데리고 2286년의 지구 궤도로 다시 돌아옵니다. 괴물체의 엄청난 파워 장애로 인해 샌프란시스코 만에 떨어졌지만 바다로 풀려나간 고래가 괴물체의 신호에 응답을 하고 이 괴물체는 응답을 받자 지구를 떠나 다시 저 멀리 먼 우주로 가버리면서 지구를 구해냈다는 이야기입니다.

혹등고래와 교신한 후 지구를 냅두고 멀리 가버린 괴비행체의 모습입니다.
흐음. 이 실린더형 괴물체는 1986년의 사람들은 몰랐겠지만 2017년 태양계에 진입하였다가 이해할 수 없는 쌍곡선 비행궤적을 보이고 사라진 분류기호 1I/2017 U1의 "오우무아무아"라는 우주 성간물체가 있었습니다. 이 오우무아무아라는 성간물체는 시가형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미묘하게 스타크렉의 혹등고래와 교신한 괴물체을 연상시키는 데가 있습니다.

관측 데이터를 기본으로 구성한 오우무아무아의 모습입니다.
이 오우무아무아는 실은 너무나도 이상한 비행궤적을 보여 현재 천문학계에서 공식적으로는 혜성으로 부르지만 인공적인 비행물체라는 주장이 진지하게 나와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단적으로 얘기를 하자면 이 오우무아무아의 궤도는 일반적인 혜성의 타원궤도가 아니라 공전주기가 허수가 되는 쌍곡선 궤도를 보였습니다. 그러니까 자연적인 물리법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설명을 하면서 이 물질이 어떤 지능적 존재의 인공물이라는 것입니다. 이 주장을 하바드대학 천문학과장이었던 에이비 로엡 박사가 주장하여 더욱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아래는 오우무아무아의 궤적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쩌면 고래가 정말 우리를 보곤성인들이 우주 하이웨이를 건설하느라 철거하려던 지구를 구해준 것일까요?
고래를 따라 이야기를 하다 보니 실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더 많이 했습니다. 특히 19세기말 20세기 초반 한반도 근해의 고래에서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그게 고래라는 것보단 사람들의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과연 그때 한반도의 사람들은 고래를 빼았겼던 것일까요? 동해를 주서식지로 삼았던 귀신고래는 아예 한국 귀신고래라고 하여 이들이 주로 출몰하던 울산 장생포 앞바다를 1962년 귀신고래 회유해면(廻遊海面)이라며, 고래가 아니라 고래가 살던 바다를 아예 천연기념물 126호로 삼으면서까지 고대하고 감정이입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러시아가 우리 고래를 잡아 멸종시켰다는 생각은 대단히 강하게 한국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다고 할까요.
잠시 아래의 3D 지도를 한번 보십시오.
이 이미지의 아래쪽에 좁은 계곡이 있습니다. 그 계곡을 지나가면 저 아래 넓고 편평한 들판이 펼쳐집니다. 그 들판 양쪽으로 좀 높아지는 고원지대가 있고 더 나가면 높은 산이 있습니다. 높은 산을 돌아 가면 차가운 저 너머로 빠져나가는 계곡이 다시 등장합니다. 이 자그마하지만 아늑한 곳은 예, 그렇습니다. 고래의 시선으로 본 동해 바다입니다. 여기로 들어온 고래에게는 러시아도 일본도 한국도 없습니다. 대체로 고래의 등장과 동해의 형성은 거의 같은 시간대 2천만년전 후기 올리고세부터 마이오세까지로 보입니다. 그러니까 이 곳 동해는 고래종이 지구에 등장하면서부터 거의 동시에 이들을 품어준 서식지인거죠. 우리 현생인류가 고작 20만년 정도 전에 등장했는데 말이죠.
이 바다 밑 지도를 캡처하고 종종 들여다 봅니다. 이 지구에는 우리말고 다른 존재들도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우리 모두 그저 인간종일뿐입니다. 그동안 迪倫齋 에서 들려드린 이야기는 결국 모두 이 이야기입니다. 인간이 사는 이야기. 하늘도 올려보고 바다도 쳐다보고 옛일도 생각해보고 미래도 생각해보고. 그러면 이렇게 뜬 세상에서 조금이나마 갈길이 보여지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어떻게 이 시리즈를 마무리할까 고민을 조금 했습니다. 제가 오래 방치해뒀던 이글루 블로그로 다시 돌아온 이유가 아무튼 고래 이야기는 마무리를 하자는 것이어서, 그저 짧고 허무하게 마무리를 짓고 오래 저 자신에게 큰 의미가 되었던 이글루스 블로그를 당분간 접어두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동안 정말 정말 읽고 같이 얘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인년 새해를 맞아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 모두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SF 오타쿠의 세계에는 크게 양대 산맥이 있습니다. DC와 마블이 아니라 스타워즈와 스타트렉입니다. 흥미로운게 스타워즈는 요즘 표현으로 지구와 무관한 세계관입니다만, 스타트렉은 지구를 출발점으로 하는 세계관입니다. 스타트렉은 대단히 오랜 기간 동안 TV 드라마와 영화로 연속, 재탄생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 1986년에 개봉한 극장판 영화 시리즈 4번째의 "스타 트렉 4: 귀환의 항로" Star Trek IV: The Voyage Home이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때는 2286년, 거대한 실린더 모양의 괴물체가 해독할 수 없는 시그널을 발사하며 지나가는 모든 우주선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 괴물체는 지구 궤도로 진입한 후 지구 전체 글로벌 에너지망을 정지시키고 행성 규모의 폭풍을 발생시켜 지구를 파괴 직전으로 몰고 갑니다. 절체절명의 지구!
USS 엔터프라이즈호의 승조원들은 이때 벌칸 행성에서 지구로 귀환하는 도중이었습니다. 귀환하려는 와중에 이 괴물체로 인한 지구의 위기를 알게되고 이 괴물체가 발사하는 이해할 수 없는 시그널이 바로 지금 지구에는 멸종된 혹등고래의 시그널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지구를 구하기 위해 타임워프를 하여 혹등고래가 멸종되기 전 1986년으로 날아가서 고래를 데리고 와서 이 괴물체와 교신을 하기로 합니다. 1986년의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이들은 소살리토 수족관에 있는 혹등고래 한쌍을 발견하고 이들을 돌보는 닥터 질리언 테일러와 함께 우여 곡절 포경선에서 고래를 구해내는 모험을 거친 끝에 고래를 데리고 2286년의 지구 궤도로 다시 돌아옵니다. 괴물체의 엄청난 파워 장애로 인해 샌프란시스코 만에 떨어졌지만 바다로 풀려나간 고래가 괴물체의 신호에 응답을 하고 이 괴물체는 응답을 받자 지구를 떠나 다시 저 멀리 먼 우주로 가버리면서 지구를 구해냈다는 이야기입니다.

혹등고래와 교신한 후 지구를 냅두고 멀리 가버린 괴비행체의 모습입니다.
흐음. 이 실린더형 괴물체는 1986년의 사람들은 몰랐겠지만 2017년 태양계에 진입하였다가 이해할 수 없는 쌍곡선 비행궤적을 보이고 사라진 분류기호 1I/2017 U1의 "오우무아무아"라는 우주 성간물체가 있었습니다. 이 오우무아무아라는 성간물체는 시가형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미묘하게 스타크렉의 혹등고래와 교신한 괴물체을 연상시키는 데가 있습니다.

관측 데이터를 기본으로 구성한 오우무아무아의 모습입니다.
이 오우무아무아는 실은 너무나도 이상한 비행궤적을 보여 현재 천문학계에서 공식적으로는 혜성으로 부르지만 인공적인 비행물체라는 주장이 진지하게 나와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단적으로 얘기를 하자면 이 오우무아무아의 궤도는 일반적인 혜성의 타원궤도가 아니라 공전주기가 허수가 되는 쌍곡선 궤도를 보였습니다. 그러니까 자연적인 물리법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설명을 하면서 이 물질이 어떤 지능적 존재의 인공물이라는 것입니다. 이 주장을 하바드대학 천문학과장이었던 에이비 로엡 박사가 주장하여 더욱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아래는 오우무아무아의 궤적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쩌면 고래가 정말 우리를 보곤성인들이 우주 하이웨이를 건설하느라 철거하려던 지구를 구해준 것일까요?
고래를 따라 이야기를 하다 보니 실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더 많이 했습니다. 특히 19세기말 20세기 초반 한반도 근해의 고래에서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그게 고래라는 것보단 사람들의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과연 그때 한반도의 사람들은 고래를 빼았겼던 것일까요? 동해를 주서식지로 삼았던 귀신고래는 아예 한국 귀신고래라고 하여 이들이 주로 출몰하던 울산 장생포 앞바다를 1962년 귀신고래 회유해면(廻遊海面)이라며, 고래가 아니라 고래가 살던 바다를 아예 천연기념물 126호로 삼으면서까지 고대하고 감정이입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러시아가 우리 고래를 잡아 멸종시켰다는 생각은 대단히 강하게 한국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다고 할까요.
잠시 아래의 3D 지도를 한번 보십시오.

이 이미지의 아래쪽에 좁은 계곡이 있습니다. 그 계곡을 지나가면 저 아래 넓고 편평한 들판이 펼쳐집니다. 그 들판 양쪽으로 좀 높아지는 고원지대가 있고 더 나가면 높은 산이 있습니다. 높은 산을 돌아 가면 차가운 저 너머로 빠져나가는 계곡이 다시 등장합니다. 이 자그마하지만 아늑한 곳은 예, 그렇습니다. 고래의 시선으로 본 동해 바다입니다. 여기로 들어온 고래에게는 러시아도 일본도 한국도 없습니다. 대체로 고래의 등장과 동해의 형성은 거의 같은 시간대 2천만년전 후기 올리고세부터 마이오세까지로 보입니다. 그러니까 이 곳 동해는 고래종이 지구에 등장하면서부터 거의 동시에 이들을 품어준 서식지인거죠. 우리 현생인류가 고작 20만년 정도 전에 등장했는데 말이죠.
이 바다 밑 지도를 캡처하고 종종 들여다 봅니다. 이 지구에는 우리말고 다른 존재들도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우리 모두 그저 인간종일뿐입니다. 그동안 迪倫齋 에서 들려드린 이야기는 결국 모두 이 이야기입니다. 인간이 사는 이야기. 하늘도 올려보고 바다도 쳐다보고 옛일도 생각해보고 미래도 생각해보고. 그러면 이렇게 뜬 세상에서 조금이나마 갈길이 보여지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최근 덧글